SMALL 신탁사기2 신탁 전세 사기란? 등기부등본 갑구도 반드시 확인! 신탁등기 주택을 이용한 전세사기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. 배경: 일부 집주인들은 대출 한도를 초과하여 집을 짓기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. 이때 자금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신탁회사에 부동산 소유권을 위임하고 대출을 받아 집을 건설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 절차: 집주인과 신탁회사는 신탁원부를 작성합니다. 신탁원부에는 신탁회사의 신탁기간, 집주인의 수익자 설정, 금융기관의 수익자 등이 기재됩니다. 이후 신탁회사는 대출을 받고 집을 건설합니다. 건물 가격의 일부가 대출금이 됩니다. 사기의 꼼수: 이제 신탁등기 주택을 임대하려는 임차인을 찾습니다. 가짜 전세계약을 체결하는데, 이때는 신탁회사의 허락 없이 체결합니다. 신탁등기 주택이라고 속여서 매력적인 전세조건을 제시합니다. 피해자의 문제점: 임차인은 이런.. 2023. 7. 27. 전형적인 전세사기 유형 안내. 전세사기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합니다. 여러 유형 중에서 주요한 전세사기 유형들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. 대리인을 이용한 이중 계약: 대리인이 집주인과 전세 또는 월세 계약을 이중으로 체결하고, 보증금을 불법적으로 가져가는 사기 유형입니다. 집주인과의 계약서에는 실제 계약 내용보다 더 높은 보증금을 적어놓고, 임차인과의 계약서에는 실제로 약속된 금액을 적어놓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. 이후 집주인은 높은 보증금을 받고 사라지게 되며, 임차인은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피해를 입게 됩니다. 깡통전세: 전세가가 매매가와 거의 비슷하거나 더 높게 책정되어 있는 상태를 깡통전세라고 합니다. 주택 가격이 하락하면 세입자는 전세금을 돌려받을 수 없게 되는 유형입니다. 다세대 주택의 여러 세입자와 계약: 주택 한 채를 여러.. 2023. 7. 27. 이전 1 다음 LIST